자동차보험 주행거리 특약이란? 기준, 키로수, 환급률 얼마나?
자동차 보험료, 매년 내지만 왠지 아깝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분명 필요한 보험인데도 말이죠. 특히 주말에만 잠깐 운전하거나 출퇴근 거리가 짧은 분들이라면 더 그렇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번 포스팅은 이렇게 운전을 적게 하는 분들이 활용하고 계시는 주행거리 특약 상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동차보험 주행거리 특약이란?
주행거리 할인 특약(마일리지 특약)은 아주 간단하고 합리적인 개념에서 출발을 합니다. 1년 동안 자동차를 적게 운행할수록 사고 발생 확률이 낮아지니, 그만큼 보험료 할인을 해주겠다는 제도입니다.
매일 장거리 출퇴근을 하는 운전자와 주말에만 가끔 운전하는 운전자가 똑같은 보험료를 내는 건 불합리하게 느껴질 수 있잖아요? 바로 이점을 반영해 실제 주행거리에 따라서 보험료를 각자 다르게 책정하는 것입니다.
이 특약은 추가 비용 없이 선택 가입할 수 있으며, 손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 입장에서 가입하는 것이 매우 유리합니다. 실제로 2020년 기준 특약 가입자 중 69%가 만기 후 평균 10만 7천 원의 보험료를 환급받았다고 합니다.
주행거리 계산 어떻게?
보험사는 단순히 1년 치 주행거리를 보는 것이 아니라 '연간 환산 주행거리'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보힘 기간 동안의 실제 주행거리를 운행 일수로 나눈 뒤, 365를 곱해 1년 치 주행거리를 예상하는 방식입니다.
연간 환산 주행거리 = (최종 주행거리 - 최초 주행거리) / 총 운행일수 x 365
궁금증 해결 Q& A
Q: 처음가입을 할 때 약정한 주행거리를 넘으면 불이익이 있나요?
A: 전혀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걱정을 하는 부분인데요, 가입 시 설정한 주행거리를 초과하더라도 페널티나 추가 요금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단지 주행거리가 늘어난 만큼 할인율이 낮아지거나 할인을 받지 못할 뿐입니다. 그러니 처음부터 너무 짧게 설정할까 봐 걱정할 필요 없이, 만기 시 실제 주행거리에 따라 정산받은 후 할인(환급)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마음 편합니다.
Q: 할인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환급률)
A: 보험사마다, 주행거리 구간마다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연간 15,000km 이하로 주행하면 대부분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적게는 2%에서 많게는 45%까지 할인율이 적용됩니다. 내 운전 스타일에 가장 유리한 보험사를 선택하려면 꼼꼼한 비교가 필수입니다.
주요 보험사별 주행거리 할인율 비교 (개인 승용차 기준)
아래 표는 주요 보험사들의 주행거리 구간별 할인율을 정리한 것입니다. 내 연간 예상 주행거리가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구분 | 삼성화재 | 현대해상 | DB손해보험 | KB손해보험 | 메리츠화재 |
3,000km | 28% | 36% | 27% | 30% | 38% |
5,000km | 23% | 29% | 24% | 26% | 35% |
7,000km | 20% | 22% | 21% | 20.5% | 22% |
10,000km | 16% | 18% | 17% | 17% | 22% |
12,000km | 5% | 8% | 11% | 7.1% | 16% |
15,000km | 2% | 5% | 8% | 5% | 7% |
위의 표는 20225년 3월 기준 정보이며, 개인용 중형 승용차 기준이므로 실제 할인율은 차종(전기차 등) 가입시점, 보험사 정책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표에서 볼 수 있듯, 3,000km 이하의 짧은 거리는 메리츠화재와 현대해상의 할인율이 높고, 10,000의 이상 구간에서는 메리츠 화재의 할인율이 돋보입니다. 자신의 연간 주행 패턴에 맞춰서 가장 유리한 보험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행거리 특약, 누구에게 특히 유리할까요?
1 주말에만 운전하는 분
2 출퇴근 거리가 짧거나 대중교통을 주로 이용하는 직장인
3 세컨드 카를 보유한 분
반면, 매일 장거리 출퇴근을 하거나, 영업직처럼 업무상 차량 이용이 잦다면 할인 기준(보통 15,000~18,000km)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아 혜택을 보기 어렵습니다.
합리적으로 이용하려면?
주행거리 특약은 운전 습관에 맞는 합리적인 보험료를 책정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제도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할인율만 높다고 덜컥 가입을 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기본 보험료 자체가 비싸다면 높은 할인율도 의미가 퇴색될 수 있으니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여러 보험사의 다이렉트 채널을 통해 기본 보험료 견적을 먼저 받아본 후, 예상 주행거리에 따른 할인율을 적용하여 최종 금액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조금만 시간을 투자하면 고정 지출인 보험료를 크게 아낄 수 있습니다. 내 차, 얼마나 타는지 확인해 보고 주행거리 할인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정보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이국적인 여행지 추천 - 해외느낌 국내 명소 어디? (0) | 2025.06.26 |
---|---|
산티아고 순례길 비용 실제로 얼마나 준비해야 할까요? (0) | 2025.06.25 |
청송 절골계곡 코스부터 주차까지 (0) | 2025.06.23 |
2025나트랑 왕복항공권 특가, 언제 예약해야 할까? (0) | 2025.06.22 |
광명동굴 입장료, 주차장, 소요시간 및 근처 카페 추천 (0) | 2025.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