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생활

바넘 효과 뜻, 실험, 예시, 문제점 알아보기

is there? 2024. 4. 3. 06:03

목차

     

    이번 글은 바넘효과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주제로 선정해 보았습니다. 

     

    바넘 효과 뜻, 실험, 예시, 문제점

     

    바넘 효과란?

     

    바넘 효과는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모든 사람에게 맞는 말을 듣고 나만의 특별한 이야기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당신은 친절하고, 때로는 조금 수줍음을 타는 편이에요'라는 말을 들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 정말 나를 잘 알고 있는데?'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모두에게 해당되는 말을 듣고, 그것이 자신만의 특별한 이야기라고 느끼는 현상을 바넘효과라고 합니다. 이 효과는 종교, 점성술, 운세 판단, 필적학 그리고 어떤 유형의 성격 검사와 같은 것을 수용하는 것에 대해서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원리

     

    바넘 효과의 원리는 사람들이 작은 노력이나 정보에 대해 개인이 그것이 자신에게 적절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나타내는 심리학적인 개념입니다. 이 원리는 미국의 심리학자 존 헨리 클라크가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작은 시작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종종 자신의 성격, 행동, 또는 경험을 설명하는 일반적인 정보나 설명을 개인적으로 맞춤화된 것으로 받아들이곤 합니다. 이러한 정보나 설명은 사실상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될 수 있지만, 바넘 효과로 인해 사람들은 그것이 자신에게만 적용되는 것처럼 느끼곤 합니다.

     

     

     

    실험

     

    1948년, 심리학자 버트럼 포러가 그의 학생들에게 성격 검사를 실시한 실험에서 바넘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그는 그의 학생들에게 그것들은 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도출된 각자에 대한 고유한 성격 분석으로, 그것들이 그들에게 얼마나 더 잘 맞는지에 대한 그들의 분석을 0점(최하점)부터 5점(최고점)까지의 점수로 매길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는, 모든 학생들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받았습니다.

     

    반응형

     

    예시

     

    온라인 성격 테스트

     

    인터넷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성격 테스트는 바넘효과의 전형적인 예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보이는 일반적인 성향이 마치 자신에게만 적용되는 효과로 느끼게 됩니다.

     

     

    오늘의 운세

     

    신문이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일간 운세는 매우 모호하고 일반적인 예언을 통해 바넘효과를 유발합니다.

     

     

    혈액형, 별자리, MBTI

     

    이러한 것들도 전형적인 바넘효과의 예시입니다.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부분들을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누어 마치 자신에게 적용된다고 느끼게 하는 심리적인 효과입니다.

     

     

     

    문제점

     

    개인 판단 저하

     

    바넘 효과로 인해 사람들은 다수의 의견에 쉽게 따르게 되므로, 이는 각 개인의 독립적인 판단을 훼손시킬 수 있습니다.

     

     

    다양성 감소

     

    바넘 효과는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오류와 편항

     

    다수의 의견에 따르는 경향은 잘못된 정보나 오류를 퍼트릴 수 있습니다.

     

     

    그룹 사고

     

    바넘 효과는 그룹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바넘 효과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굉장히 많이 볼 수 있는 현상이며, 이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로는 아니지만 바넘효과로 인해서 정말로 알아야 하는 자신의 특성을 타인의 의도대로 조작될 수 있으니 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