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생활

이력서 경력사항 순서 및 쓰는법 어떻게?

is there? 2024. 7. 25. 05:38

목차

     

    이번 글은 이력서를 작성할 때 필요한 경력사항을 쓰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력서 경력사항 순서 및 쓰는 법

     

    1. 최근 경력부터 작성합니다.

     

    경력사항은 최근의 경력부터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사 담당자는 지원자의 최근 경력에 가장 관심이 많습니다. 이는 지원자의 최근 업무 능력과 성과를 가장 잘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력서의 경력사항은 최근의 경력부터 역순으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경력사항 작성 방법

     

    • 각 경력사항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해야 합니다. 회사 이름, 직위, 재직 기간, 주요 업무, 그리고 업무 성과
    • 재직 기간은 구체적으로 명시하되, 월까지 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주요 업무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작성하되, 가능한 한 짧게 요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업무 성과는 구체적인 수치나 사례를 들어서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직무와 관련된 경력을 강조합니다.

     

    지원하시는 직무와 관련된 경력사항이 있다면, 그 경력을 강조하고 상세히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담당한 업무와 그 업무를 통해 얻은 성과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유리합니다.

     

     

     

    3. 신입의 경우에는?

     

    사회경험 및 사회활동

     

    신입의 경우, 아직 관련 경력이 없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대학생활 중에 참여했던 동아리 활동, 학생회 활동, 봉사활동 등의 사회 경험을 기재하면 좋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얻은 역량과 경험을 구체적으로 작성하면, 인사담당자에 본인의 역량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르바이트 경험

     

    아르바이트 경험도 중요한 경력사항입니다. 아르바이트 통해 얻은 서비스 마인드,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하면 좋습니다.

     

     

    인턴십 경험

     

    인턴십 경험은 신입의 경력사항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인턴십을 통해 얻은 직무 관련 경험과 역량을 구체적으로 작성하면, 인사담당자에게 본인의 해당 직무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경험

     

    학교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나 개인 프로젝튼 경험도 중요합니다.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역량과 성과,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맡았는지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면 좋습니다.

     

     

     

    이직을 고려하고 계시다면?

     

    이직을 고려하는 경우, 현재 지원하시는 회사 직무와 관련된 경력사항이 있을 경우, 그 경력을 강조하고 상세히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력사항 작성 시 주의사항

     

    • 재직기간이 6개월 미만이라면 경력란에서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경력사항을 작성할 때는 본인이 냈던 성과를 중심으로 작성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자신이 맡았던 주요 업무 내용별로 객관적인 근거가 필요합니다.
    • 회사의 사업내용, 규모, 매출액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